성장 호르몬 과다증, Growth hormone hypersecretion(Overproduction of growth hormone)

posted in: Uncategorized | 0

성장 호르몬 과다증, Growth hormone hypersecretion(Overproduction of growth hormone)

 

  •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GH)은 뇌하수체 전 엽에서 분비되고 신체의 근육, 골, 연골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이다(그림 1-41, 1-42 참조).p.00 성장 호르몬 참조
  • 성장 호르몬이 비정상적으로 과다 분비될 때 말단 거대증(Acromegaly) 또는 뇌하수체 거인증(Pituitary gigantism)이 생길 수 있다. 
  • 성장 호르몬 과다증이 있으면 골단 성장이 끝난 후에는 말단 비대증이 생기고, 골단 성장이 다 끝나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거인증이 생긴다.
  • 성장 호르몬 과다증으로 생기는 뇌하수체성 거인증의 대부분은 뇌하수체 양성 종양이 있을 때 생기는 것이 보통이다. 

다음은 성장 호르몬 과다는 무엇인가요에 관한 인터넷 소아청소년 건강상담 질의응답의 예 입니다.

Q&A. “성장 호르몬 과다는 무엇인가요

Q.

안녕하십니까.

저는 이제 백일 된 조카아이의 성장이 이상하여 이글을 올립니다.

일부 병원에서는 이 아이가 성장 호르몬 과다라는 증세가 있다고 합니다.

이 증세가 어떤 병이며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부모는 아이에 대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 또 어느 병원에서 어떤 검사를 해야 하는지요?

이 아이가 장애인으로 살 수도 있는지요?

A.

배님께

안녕하십니까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녀의 나이와 성별과거 현재 가족의 병력증상 징후와 진찰소견적절한 임상검사 등의 결과를 종합해서 진단 치료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주신 정보를 참작해서 답변을 드립니다.

누구든지 뇌하수체가 뇌에 정상으로 한 개 있고 뇌하수체 접 엽에서

성장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프로랙틴,

난포자극 호르몬,

황체 호르몬 등이 수요공급 법칙에 따라음성피드백 기전에 따라 적절히 분비됩니다.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골단 판에서 연골 세포가 활동하는 소아기에 정상 이상으로 항진되면 뇌하수체성 거인증이 되거나 그 이후 성장호르몬 과다분비가 생기면 선단 거대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시상하부 선종,

췌장 선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 등으로 성장 호르몬 과다 분비가 생길 수 있다그로 나이에 따라 거인증이나 선단 거대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소토스 증후군으로도 거인증 비슷하게 성장 할 수 있지만 성장 호르몬 분비가 비정상으로 항진되지는 않습니다.

아무 병이 없는데 선천적으로 거인 같이 아주 잘 자라는 아이도 있습니다그래서 이런 경우와 거인증을 감별 진단해야 합니다.

1세 이전 영아가 성장 호르몬 과다 분비로 거인증이 될 수는 있지만 아주 드뭅니다.

자세한 병력을 주시면 답변을 더 자세히 드릴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과에서 진찰 진단 치료를 받고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질문이 더 있으시면 다시 연락 주세요감사합니다이상원 드림

Growth hormone hypersecretion (Overproduction of growth hormone)

• Growth hormone (GH) is a hormone secreted by the anterior pituitary gland and promotes the growth of muscles, bones, and cartilage in the body (see Figures 1-41 and 1-42). See p.00 Growth Hormone

• Acromegaly or Pituitary gigantism may occur when growth hormone is abnormally over-secreted.

• In the presence of growth hormone hypertrophy, acromegaly occurs after epiphyseal growth is over, and gigantism occurs in children who have not completed epiphyseal growth.

• Most of the pituitary gigantism caused by growth hormone hypertrophy usually occurs when there is a benign pituitary tumor.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questions and answers of Internet Children’s Health Counseling regarding “What is excessive growth hormone”.

Q&A. What is “growth hormone excess”

Q. Hello. I am posting this because my niece, who is now 100 days old, is growing strangely. Some hospitals say the child has a condition called “growth hormone overdose.” What kind of disease is this disease and how does it affect growth, what measures should parents take for their child, and which hospital should they perform any tests? Can this child live with a disability?

A. to the boat Hello. Thanks for asking. It is ideal to diagnose and treat the results of the child’s age and gender, past and present family history, symptom signs and examination findings, and appropriate clinical tests, but we will give you an answer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you have given us.

Anyone who has a normal pituitary gland in their brain and growth hormone, thyroid stimulating hormone, adrenocorticotropic hormone, prolactin,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Progesterone, etc., are properly secreted according to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and the mechanism of negative feedback.

If the secretion of growth hormone exceeds normal in childhood, when chondrocytes are active in the epiphyseal plate, pituitary giantism may occur, or if there is an excess of growth hormone thereafter, acromegaly may occur. hypothalamic adenoma, pancreatic adenoma, Alternatively, excessive secretion of growth hormone may occur due to a pituitary adenoma. This can lead to gigantism or acromegaly, depending on age

. Even with Sotos syndrome, you can grow gigantic-like, but the secretion of growth hormone is not abnormally stimulated. There are children who are born with no disease, but grow very well like gi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lly diagnose this case and gigantism. Although infants before the age of 1 year can become gigantic due to excessive secretion of growth hormone, it is rare. If you give us a detailed medical history, we can give you a more detailed answer. Please consult with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for diagnosis, diagnosis and treatment.

If you have any more questions, please contact us again. thank you. Lee Sang-won Dream

출처 참조 문헌 Sources and references

  • NelsonTextbook of Pediatrics 22ND Ed
  •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
  •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Red Book 32nd Ed 2021-2024
  • Neonatal Resuscitation, American Academy Pediatrics
  • www.drleepediatrics.com 제1권 소아청소년 응급 의료
  • www.drleepediatrics.com 제2권 소아청소년 예방
  • www.drleepediatrics.com 제3권 소아청소년 성장 발육 육아
  • www.drleepediatrics.com 제4권 모유,모유수유, 이유
  • www.drleepediatrics.com 제5권 인공영양, 우유, 이유식,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 www.drleepediatrics.com 제6권 신생아 성장 발육 육아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제7권 소아청소년 감염병
  • www.drleepediatrics.com제8권 소아청소년 호흡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9권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0권. 소아청소년 신장 비뇨 생식기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1권. 소아청소년 심장 혈관계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2권. 소아청소년 신경 정신 질환, 행동 수면 문제
  • www.drleepediatrics.com제13권. 소아청소년 혈액, 림프, 종양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4권. 소아청소년 내분비, 유전, 염색체, 대사, 희귀병
  • www.drleepediatrics.com제15권.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자가 면역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6권. 소아청소년 정형외과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7권. 소아청소년 피부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8권. 소아청소년 이비인후(귀 코 인두 후두) 질환
  • www.drleepediatrics.com제19권. 소아청소년  안과 (눈)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0권 소아청소년 이 (치아)질환
  • www.drleepediatrics.com 제21권 소아청소년 가정 학교 간호
  • www.drleepediatrics.com 제22권 아들 딸 이렇게 사랑해 키우세요
  • www.drleepediatrics.com 제23권 사춘기 아이들의 성장 발육 질병
  • www.drleepediatrics.com 제24권 소아청소년 성교육
  • www.drleepediatrics.com 제25권 임신, 분만, 출산, 신생아 돌보기
  • Red book 29th-31st edition 2021
  •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21st Edition
  •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22nd edition
  •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
  •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이상원 저
  • The pregnancy Bible. By Joan stone, MD. Keith Eddleman, MD
  • Neonatology Jeffrey J. Pomerance, C. Joan Richardson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임신에서 신생아 돌보기까지이상원
  • Breastfeeding. by Ruth Lawrence and Robert Lawrence
  • Sources and references on Growth, Development, Cares, and Diseases of Newborn Infants
  •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By Ross Lab. May 1989. p.10
  • Emergency care, Harvey Grant and Robert Murray
  •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 Delmer J. Pascoe, M.D., Moses Grossman, M.D. with 26 contributors
  • Neonatal resuscitation Ameican academy of pediatrics
  • Pediatric Nutritional Handbook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 Pediatric Resuscitatio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Stephen M. Schexnayder, M.D.
  • Pediatric Critical Care,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James P. Orlowski, M.D.
  • Preparation for Birth. Be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 4권 모유모유수유이유 참조문헌 및 출처
  • 5권 인공영양우유, 이유, 비타민, 단백질지방 탄수 화물 참조문헌 및 출처
  • 6권 신생아 성장발육 양호 질병 참조문헌 및 출처
  •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Copyright ⓒ 2014 John Sangwon Lee, MD., FAAP

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내용은 여러분들의 의사로부터 얻은 정보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publi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edical care and advice of your doctor. There may be variations in treatment that your doctor may recommend based on individual facts and circumstances.

“Parental education is the best medicine.